2024년 4월 20일(토)

라이프 문화사회

중동 호흡기증후군 '메르스' 감염자 세명으로 늘어나…'불안감 확산'

작성 2015.05.21 21:08 조회 625
기사 인쇄하기
중동 호흡기증후군

[SBS연예뉴스 연예뉴스팀] 중동 호흡기증후군 '메르스' 감염자 세명으로 늘어나…'불안감 확산'

중동 호흡기증후군

중동 호흡기증후군 감염자가 3명째 나타났다는 사실이 밝혀져 눈길을 끌고 있다.

치사율이 높지만 치료법은 알려지지 않은 전염병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의 국내 감염자가 세명으로 늘어나면서 공포감이 커지고 있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 등 보건당국은 오늘(21일) 첫 감염자 A씨(68)와 A씨를 간병하던 부인(63)에 이어 같은 병실을 쓰던 세 번째 환자 B씨(76)의 감염 사실까지 확인되자 감염세가 더 확장될지 여부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메르스는 치사율이 사스의 3배 이상인 40%나 되지만 환자와 접촉 정도가 강한 사람에게만 전염될 정도여서 전염력은 상대적으로 약한 편이다.

보건당국은 국민이 과도한 불안감을 느끼지 않도록 주의하면서도 감염자와 밀접 접촉한 가족, 의료진을 전원 격리시키며 추가 감염자 발생을 막는데 집중하고 있다.

B씨는 A씨와 그의 부인에 이은 세번째 감염자이며 메르스가 가족을 넘어 2차 감염된 첫 사례이다.

가족 이외의 첫 2차 감염자라는 것은 그만큼 감염자와 접촉한 사람의 폭이 늘어난다는 점에서 메르스의 확산 방지에는 부정적일 수밖에 없다.

다른 감염병과 마찬가지로 메르스 역시 감염자가 늘어날수록 확산을 막기가 힘들어진다.

보건당국은 추가 감염을 막고자 세명의 확진 환자와 밀접하게 접촉해 온 가족과 의료진 64명을 모두 격리조치했지만, 만약 이들 중에서 다시 환자가 발생하면 그만큼 격리해 검사해야 할 감염 의심자는 더 늘어나게 된다.

환자는 통상 병원이라는 한정된 공간에만 있지만, 만약 의료진 중에서도 감염자가 다시 나오면 전염 상황은 더 악화될 수도 있다.

다만 메르스의 전염력이 다른 전염병에 비해 약판 편인 점은 다행이다.

같은 공간을 어느 정도 지속적으로 공유해 접촉 정도가 일상적인 수준을 넘으면 전염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건당국은 어제 국내 첫 환자 발생 직후 메르스에 대한 위기경보체계를 4단계에서 가장 낮은 '관심'에서 한단계 높은 '주의'로 격상하고 중앙방역대책본부를 설치해 대응 중이다.

오늘 감염자가 3명으로 늘어나면서 전문가회의를 열고 경보체계를 다시 한단계 올려 '경계'로 높이는 방안을 논의했지만 일단은 '주의' 단계를 유지하기로 했다.

다만 감염자와 밀접 접촉한 사람 전원을 격리조치하는 등 사실상 '경계'에 준하는 대응조치를 선제적으로 취하고 있다.

국내 첫 메르스 감염자가 발생하자 공항에서는 중동지역 입국자에 대한 검역을 강화하고 있다.

중동발 비행기가 착륙하는 인천국제공항에서는 중동발 비행기 승객들이 내리는 탑승 게이트에 검역대를 설치해 바로 발열 검사를 하고 승객들에게 건강상태 유무를 묻는 건강상태질문서를 작성해 제출하도록 하고 있다.

다만, 당국은 현 상황에서는 중동과의 왕래를 제한할 계획은 가지고 있지 않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2월 메르스와 관련해 국가 간 여행, 교역, 수송 등을 제한할 사항은 아니라고 공식적으로 발표한 바 있다.

2012년 4월 사우디 등 중동지역에서 발생하기 시작해 이 지역을 공포로 몰아넣었던 질병이다.

최근 들어 확산 속도가 주춤하지만, 여전히 발병 보고가 이어지고 있다.

2012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최근까지 23개 국가에서 1천142명의 환자가 발생했으며 이 중 465명이 사망해 치사율이 40.7%나 된다.

질병에 대한 예방백신이나 치료약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치사율이 높긴 하지만 전염성은 다른 전염병에 비해서는 낮은 편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전염성이 약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풍토병 수준의 질병'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실제로 감염자의 97.8%는 중동 지역에서 발생했다.

2012년 첫 발병 후 4년간 감염자가 1천142명 수준으로 비교적 적은 편이라서 확산 수준은 다른 전염병들만큼 크지 않다.

병에 걸리면 약 2~14일의 잠복기를 거쳐 38도 이상의 고열과 기침, 호흡곤란증세를 보인다.

심하면 폐 기능이 생명을 유지할 수 없을 만큼 떨어져 사망에 이른다.

발병 원인으로는 낙타를 통해 인간에게 감염됐다는 주장이 가장 일반적이다.

감염자 중에서는 낙타 시장·농장 방문, 낙타 체험프로그램 참여 등 낙타와 접촉한 경우가 많다.

서울대학교병원 감염내과의 최평균 교수는 "사우디 등지에서 병원 내 감염 사례가 있기는 하지만 독감처럼 잘 퍼지는 질병이 아니다"고 이 질병에 대한 지나친 공포를 경계했다.


(중동 호흡기증후군, 사진=SBS)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광고영역